Ep35. 캐나다에서 처음 집을 산다고? MLS listing sheet 완전정복!

Ep35. Oct 4, 2020 캐나다에서 처음 집을 산다고? MLS listing sheet 완전정복!
전화기를 새로 구입하시려고 하시다면 무엇을 먼저 알아보시나요? 삼성 캘럭시를 살것인지 애플 아이폰을 살 것인지 생각하고 또 관심이 가는 전화기들의 스펙을 확인하시죠. 카메라 성능은 어떤지 메모리 용량은 가격대비 어떤 것이 더 큰지 알아보시죠. 즉, 우리는 어떤 물건을 살때 원하는 가격대의 제품들의 스펙을 비교합니다.
집을 막 보기 시작하였다고요? 캐나다에서 집을 처음 사신다고요? 그럼 당연히 집들의 스펙을 보고 비교를 하실 것입니다. 한 장에 종이에 집에 대한 정보가 일목요연하게 정리가 되어 있는 스펙 요약표 같은 것이 바로 MLS listing sheet 입니다. MLS feature sheet이라고 부르기도 하죠. 오늘은 이 MLS listing sheet 에서 무엇을 중점적으로 보셔야 할지 알아보겠습니다. 리스팅 에이젼트가 집을 MLS 올릴 때 넣을 수 있는 글자 수가 한계가 있습니다. 그러다 보니 약어를 참 많이 사용합니다. 제가 고객님들 집을 보여 드리면서 자주 받은 약어들도 풀어서 설명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MLS에 어떤 정보들이 있는지 한번 정리를 해보겠습니다.
옆에 예에서 보시는 것처럼,
-집주소;
-이 집에 속해 있는 커뮤니티 이름;
-리스팅 가격;
-다음 보시는 SPIS는 Seller Property Information Statement 이라는 것인데
셀러가 자신들이 아는 집에 대한 정보를 기입한 문서입니다.
SPIS는 집을 내 놓을 때 의무사항이 아니다 보니 대부분의 셀러들은 이 문서 작성을 안 하시죠. 그래서 보통은 No 즉 SPIS가 없다라는 표기를 보실 거에요.
-그리고 Property tax 재산세 금액이 여기 표기가 됩니다.
– DOM 은 Days On Market이라고 해서 이 집이 시장에 나온지 몇일이 되었는지 보여 주는 숫자입니다. 요즘 같은 셀러스 마켓에서는 보통 10일 이하에 대부분 집들이 팔리고 있는데 이 숫자가 20일 이상된다라면 왜 유독 그 집이 안나가고 있는지 좀 더 조사를 해 보셔야 할 것입니다. 이 돔이라는 숫자가 항상 정확한 현실을 보여 주는 것이 아닐 수도 있습니다. 그 이 이유가 궁금하시면 저의 비디오 episode 25과 episode 9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다음은 detached/semi detached/townhouse 등을 보여 주는 집의 형태;
– Front on: 이것은 리얼터들도 헷갈려서 잘못 기입하는 경우가 많은데요. 집 주소에 포함되어 있는 길 이름의 어느 쪽에 집이 있느냐를 알려 주는 것입니다. 여기 예에서 보면 이 집은 Hortop이라는 길의 동쪽에 집이 위치하고 있다는 뜻입니다.
– 화장실을 포함한 전체 방의 개수;
– 그 바로 밑에는, 베드룸의 갯수입니다. 여기서 팁하나. Bedrooms에서 보시면 3+1 과 같이 + 다음에 나오는 숫자가 있습니다. 만약 해당 집이 콘도라면 + 다음에 나오는 숫자는 덴의 갯수를 뜻합니다. 하지만 만약 해당 집이 콘도가 아니라면 + 다음에 나오는 숫자는 지하에 있는 Bedrooms의 갯수를 뜻합니다. 재밌는 사실은 온타리오 빌딩코드에선 Bedroom이 무엇인지 정의하고 있지 않습니다. 그래서 똑같은 공간을 놓고도 리얼터마다 그것을 Bedroom이라고 칭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는 것입니다.
– 그 바로 밑에 있는 것은 Washrooms 화장실의 개수가 되겠습니다. 이 부분은 잘 모르시는 분들이 많아서 잠깐 설명 드립니다.
1x3xMain,
1x4xBsmt 이런식으로 표현이 되어있죠.
뒤에서 부터 보는 것이 저는 편한 것 같습니다. Main Bsmt은 위치를 뜻합니다. Main은 Main Floor 있는 화장실이라는 뜻입니다. 가운데 숫자는 화장실의 형태를 뜻합니다.
2 Piece(PC): Sink and toilet;
3 Piece(PC): Sink, toilet, and bathtub or shower stall;
4 Piece(PC): Sink, toilet, and bathtub with shower;
그러고 맨 앞에 있는 숫자는 그런 형태의 화장실이 몇개 있는지 보여주는 것입니다.
예를들어서 2x4x2nd 이라고 표시 되어 있다면 이층에 4pc 화장실이 두개 있다는 뜻이 되겠죠.
-Link: 이 것도 자주하시는 질문 중에 하나인데요. 웹싸이트 링크인가? 하시는 분도 있을 텐데요. 그렇지는 않습니다. 만약 detached home인데 Link가 Yes 로 표기가 되어 있다면 그 집은 옆에 집과 Linked 즉 연결이 되어 있다는 것입니다. 겉으로 보기에는 완벽한 단독처럼 보이시만 실제로는 옆집과 연결이 되어 있는 집이죠. 보통 집을 짓는 빌더가 Foundation을 한꺼번에 동시에 하면 공사비가 절감이 되기 때문에 70-80년대 집이 이런 방식으로 지어진 경우가 있습니다. 혹시 집을 완전히 허물고 지하부터 새로 집을 지으려고 계획하고 계시다면 Link가 Yes로 되어 있는 집을 사시면 난감하시겠지요.
-집의 Style 2층 집인지, 3층 집인지, Bungalow인지등의 집의 스타일을 여기 표시하죠;
-집의 땅면적을 표시 하는데요. Frontage x Depth로 표시합니다. 여기 예에선 정문이 있는 쪽이 폭이 51 feet이고 전면에서 뒤의 백야드까지 총 길이가 157feet 입니다. 일반적으로 다른 조건이 모두 비슷한 두 집의 경우에 Frontage가 더 큰 집이 가치가 더 높습니다. 참고하세요.
-Major intersection 길이름이 밑에 나옵니다.
– Possession Remarks를 보시면 현재 집 주인이 언제 이사하고 싶어하는지 알 수가 있죠. 새로 이사갈 집을 구해 놓은 집 주인같은 경우에는 그 새집의 closing date 에 비슷한 시점으로 날짜를 잡겠죠.
그 밑으론 더욱 세세한 집의 세부사항과 각 방의 크기와 특징을 설명하게 되어 있습니다.
– 여기서 하나 집고 넘어가겠습니다. POTL Mo fee (Parcel Of Tied Land (POTL)) Monthly fee)라고 해서 freehold townhouse 라고 할지라도 눈 치워주소, 잔디 깍아주고, 쓰레기 치워주는 등의 공동 서비스에 대한 비용을 매달 내시는 것이 있습니다. POTL Mo fee라고 표현하죠.
다음은 Client remarks and Extra라고 해서 리스팅 에이젼트가 해당 집에 대해서 주관식으로 설명하는 란이라고 보시면 되는데요. 주로 위치가 어떻고 어떤 업그레이드를 했고 어떤 가전제품들이 포함되어 있는지 등을 표시합니다. 여기에 약자를 많이 사용하죠. 약자 설명 전에 Client remarks 란에 자주 등장하는 용어 하나 소개 합니다. Great In-Law Suite 라는 표현을 가끔 보실 수 있습니다. 문자 그대로 해석하면 사돈과 같은 인척 또는 친척이 와서 잠깐 머물 수 있는 방이라는 뜻입니다. 보통 지하에 간당한 주방, 화장실과 방이 있을 경우 이렇게 표현하는데요. 겉으로 봤을 때는 렌트로 지하를 내 놓을 수 있을 것 처럼 보이지만 실제 해당 시에 허가는 받지 않은 경우 이렇게 표현을 많이 합니다. 만약 시에 허가를 받은 legal two units일 경우 legal duplex / legal apartment unit 등과 같은 표현을 사용합니다. 만약 1년 이상 장기로 렌트를 주려고 계획하고 계시다면 legal duplex/threeplex인 집을 구매하시거나, 아니면 허가를 받기 쉬을 것 같은 집을 사서 용도 변경을 하셔야겠습니다.
그럼 마지막으로 약자를 정리해 보겠습니다.
SS Fridge
2nd Fl Laundry
W/O To Deck
W/I Closet
TBD: To Be Determined
이 외에 제가 언급하지 않았지만 궁금하신 것이 있으시면 밑에 코멘트 남겨 주시면 제가 답변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Join The Discussion
You must be logged in to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