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p40. Working with a Realtor (Form 810) 부동산 문서 이해하기

Working With A Realtor (Form 810)
리얼터와 함께 집을 찾기로 하셨다면 오퍼를 넣기 전에 두가지 서류에 싸인을 하시고 공식직으로 리얼터와 클라이언트 관계로 일을 시작하게 됩니다.
- Working With A Realtor and
- Buyer Representation Agreement or Listing Agreement
가 그 두가지 문서입니다. 리얼터는 이 문서들에 대해 설명을 드리고 싸인을 받아야 합니다.
그런데 어떤 리얼터들은 그냥 ‘여기 여기 싸인 하세요’ 라고 넘어 가는 경우가 있죠. 꼭, 설명해 달라고 요청하시고 문서을 이해 하신 후에 싸인 하시기 바랍니다. 오늘은 이 중 첫번째 Working With A Realtor 를 설명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이 문서는 리얼터와 일을 한다는 것이 어떤 의미인지 그리고 리얼터와 어떤 계약 관계를 성립할 수 있는지 설명해 줍니다.
먼저 온타리오의 모든 리얼터는 Real Estate and Business Brokers Act, 2002 (REBBA 2002)라는 법에 적용을 받고 이 법은 Real Estate Council of Ontario (RECO)라는 기관에 의해 집행이 됩니다. 모든 리얼터는 RECO에 등록을 해야 하고 또한 RECO 보험에 의무적으로 가입을 해야 합니다. 이 보험은 Deposit insurance하고 Errors and Omission (E&O) insurance를 포함합니다. 즉, 오퍼를 넣을 때 선금으로 보내는 디파짓에 문제가 발생하거나 아니면 리얼터의 실수로 인해 계약 문서에 필요한 조항을 잘못 넣었거나 빼먹었을 경우를 커버하는 보험입니다. 즉 리얼터는 부동산 거래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분쟁에 대해 커버하는 보험에 의무적으로 가입하게 되어 있습니다. 리얼터는 RECO 등록증을 항시 들고 다녀야 하며 고객이 요청하면 바로 보여 줄 수 있어야 합니다. 참고로 어떤 리얼터가 RECO에 등록이 되어 있는지는 RECO 웹싸이트에서도 검색을 하실 수 있습니다.
리얼터와 계약을 하시면 계약한 그 사람과 일을 하시게 되지만 계약 문서들을 보시면 그 리얼터 개인과 계약을 하시는 것이 아닙니다. 그 리얼터가 소속되어 있는 회사 Brokerage 하고 계약을 하시는 것이죠. 그 리얼터는 그 Brokerage 의 대리인 자격으로 선생님을 도와 드리게 되는 것입니다. 다시 말해, 만약 저와 같이 집을 찾으시기로 계약을 하시면 선생님과 저 Peter Kim이라는 사람이 계약을 하는 것이 아니고 선생님과 제가 소속되어 있는 회사인 Right At Home Brokerage와 계약을 하시는 것입니다. 물론 Right At Home을 대표해서 제가 리얼터의 역할을 하는 것이고요.
그럼 리얼터와 어떤 계약 관계를 설립할 수 있느냐? 간단히 두 가지 경우가 있습니다.
Client vs Customer
이 둘 중에 하나의 관계를 맺게 되는데요.
선생님께서 저에게 부동산 시장에 대해 문의를 하셔서 제가 상담을 해 드린다거나, 선생님께서 부탁을 하셔서 제가 오퍼를 대신 써 드린 다거나, 다음에 설명드릴 Buyer Representation Agreement 에 싸인 한 것 없이 제가 집을 보여 드린다거나 하는 상황에서는 선생님과 저의 관계는 Customer relationship 인 것입니다.
그런데 바이어의 경우는 Buyer Representation Agreement, 셀러의 경우는 Listing Agreement 라는 문서에 싸인을 하시면 리얼터와 “Client 관계”가 성립이 됩니다. 이 경우 리얼터는 Fiduciary duty 로 고객을 대해야 하는데 무슨 뜻이냐면
1) 고객의 이익을 보호하고 2) 고객을 위해 최선을 다하며 3) 고객의 기밀을 보호해야 할 의무가 생깁니다.
다음은 Multiple Representation에 대해 설명하는 섹션입니다. 이전에 말씀 드렸듯이 서류상에는 리얼터가 소속되어 있는 회사 즉 Brokerage와 계약을 하시게 됩니다. 그러다 보니 만약 선생님이 어떤 집에 오퍼를 넣었는데 셀러의 리얼터가 선생님의 리얼터와 같은 회사 사람이라면 설령 그 두 리얼터가 서로 모르는 사이라 할지라도 Multiple Representation이 됩니다. Multiple Representation 상황이 되면 오퍼를 공식적으로 넣기 전에 리얼터는 Multiple Representation 상황이라는 것을 알릴 의무가 있습니다. 그런데 왜 Working With A Realtor 문서에서 Multiple Representation에 대해 열심히 설명을 하고 있느냐? 왜냐하면, Multiple Representation이 되면 추가적으로 싸인을 하셔야 하는 부분들이 더 생깁니다. 부동산 시장의 공정한 거래를 위해 여기 저기 보호 장치를 해 놓았다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다음은 Critical Information 섹션입니다. 리얼터는 부동산 거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사실들을 고객에게 무조건 알릴 의무가 있습니다. 어떤 집에 오퍼는 넣으려고 하는데 리얼터가 그 집에 살인 사건이 있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면 그 사실을 알려야 하죠. 고객이 찾고 있는 조건에 맞는 집이 나오면 그 집의 커미션이 다른 집들에 비해 작다고 할지라도 고객에게 알려야할 의무가 합니다.
선생님이 집을 찾으실 때 중요하게 여기는 사항들이 무엇인지 아주 자세히 리얼터에게 알려 주세요. 거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아주 작은 것이라도 리얼터와 상의를 하세요. 두 사람 이상이 같이 하는 일은 그 것이 무슨 일이라도 팀웍이 중요하죠. 집을 사거나 집을 파는 일 또한 두 사람 이상이 같이 하는 일이기에 팀웍이 정말 중요합니다. 좋은 팀웍을 위해서는 대화를 자주 나누어야 할 것 같습니다.
마지막으로 사소한 것이라도 이해가 안가는 부분이 있으시면 꼭 리얼터에게 질문하세요. 리얼터는 고객의 질문에 성심성의껏 답을 찾아 알려드릴 의무가 있으니까요.
이 Working With A Realtor를 이해하셨고 Buyer Representation Agreement 또는 Listing Agreement 라는 문서에 따로 싸인을 하고 Client 관계가 성립되어 같이 협력을 하실 계획이라면 여기에 이니셜하고 밑에 싸인을 하시게됩니다.
추후 비디오에서는 Buyer Representation Agreement 와 Listing Agreement 를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